반응형

요즘 인플레이션이 정말 미쳤는데요. 최근 테슬라 가격 인상이 또 진행되면서 큰 이슈가 됐습니다. 이렇게 되면 정말 작년과 올해초에 테슬라 구매하신분이 승자가 아닐까 싶을 정도인데요. 저도 계속 고민하다가 못샀는데 이거 지금이라도 사야되는거 아닌가 매우 고민중입니다.

 

요즘 다양한 이슈가 있어서 그렇기는 해도 석유값 오르는거 보면 전기차로 그냥 빨리 변경해야겠다 싶은 생각이 개인적으로 많이 드네요. 이번에 테슬라 가격 인상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 한번 정리해보겠습니다.

 

국내외 테슬라 전기차 가격 인상폭을 표로 정리했으니, 본문 참고하셔서 큰 도움되시기 바랍니다.

 

 

테슬라 전기차 가격 인상 소식

 

올해 6월에 테슬라는 가격 인상을 또 한번 진행했습니다. 이유는 반도체 칩 부족 등 공급망 문제와 배터리에 쓰이는 원자재 가격 폭등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특히 리튬 가격이 급등해서 어쩔 수 없다고 하네요.

 

요즘 인플레이션 때문에 이것저것 가격이 오르고 있으니 어쩔 수 없기는 하지만, 테슬라 가격 인상이 사실상 올해 여러번 있었기 때문에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제 인기가 치솟으니 원자재 가격 인상분을 그대로 소비자들한테 전가할 수 있는거죠.

 

한 해에 한번 올리는 것도 아니고 벌써 수차례 인상하다보니 여론이 꽤 안좋기는 합니다. 그렇지만 뭐 여전히 인기가 높다보니 살 사람들은 사지 않을까 싶네요.

 

 

테슬라 모델 종류

 

아직, 테슬라 차종에 대해 많이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테슬라 모델을 설명드리겠습니다. 현재 출시 중인 테슬라 모델은 4가지 종류가 있는데요. 모델3, S, X, Y 이렇게 있습니다.

 

여기서 모델 3와 S가 세단 차량이고 X와 Y는 SUV인데요.

모델3가 보급형 세단, 모델 S는 고성능 세단, 모델 Y는 중형 SUV, 모델 X는 대형 SUV입니다.

 

가격은 일반적으로 모델 3 < 모델 Y < 모델 S < 모델 X라고 보시면 됩니다.

 

테슬라 모델별 스펙 및 제원 보기

테슬라 모델 3

 

모델 3 상세보기

 

 

 

테슬라 모델 S

 

모델 S 상세보기

 

 

테슬라 모델 X

 

모델 X 상세보기

 

 

테슬라 모델 Y

 

모델 Y 상세보기

 

 

테슬라 모델별 가격 인상폭

각 모델별로 가격 인상폭을 표로 정리해봤는데요.

모든 모델이 가격 인상을 하기는 했지만 트림에 따라 가격이 그대로 유지된 것도 있습니다.

미국 시장 가격 인상표와 아래에는 국내 가격 인상표도 정리해놨으니 모두 참고해보세요.

 

1) 모델 3 가격 인상

트림 가격 인상 전 가격 인상 후 인상폭
Standard
Range Plus
유지 유지 -
Long Range 54,490달러
(약 7026만원)
57,990달러
(약 7477만원)
2500달러
(약 322만원)
Plaid 유지 유지 -

 

2) 모델 S 가격 인상

트림 가격 인상 전 가격 인상 후 인상폭
Long Range 99,990달러
(약 1억 2900만원)
104,990달러
(1억 3545만원)
5,000달러
(645만원)
Plaid 135,990달러
(약 1억 7545만원)
135,990달러
(약 1억 7545만원)
-

 

3) 모델 Y 가격 인상

트림 가격 인상 전 가격 인상 후 인상폭
Long Range 62,990달러
(약 8124만원)
65,990달러
(약 8511만원)
3,000달러
(약 386만원)
Performance 67,990달러
(약 8767만원)
69,990달러
(약 9023만원)
2,000달러
(약 257만원)

 

4) 모델 X 가격 인상

트림 가격 인상 전 가격 인상 후 인상폭
Long Range 114,990달러
(약 1억 4834만원)
120,990달러
(약 1억 5606만원)
6,000달러(약 386만원)
Plaid 138,990달러
(약 1억 7932만원)
138,990달러
(약 1억 7932만원)
-

 

 

국내 테슬라 가격 인상(모델별)

1) 모델 3(2022 출시)

트림 주행거리 복합연비 제로백(0-100km) 가격 인상 전
가격 인상 후
Standard
Range Plus
382km 5.8 5.6초 6,699만원 7034만원
Long
Range
528km 5.0 4.4초 7,879만원 8351.7만원
Performance 480km 4.7 3.3초 8,969만원 9417.5만원

 

2) 모델 S(2021 출시)

트림 주행거리 복합연비 제로백(0-100km) 가격 인상 전
가격 인상 후
Long
Range
652km 4.3 3.2초 1억 2,999만원 -
Plaid 637km 4.1 2.1초 1억 6,999만원 -

 

3) 모델 Y(2022 출시)

트림 주행거리 복합연비 제로백(0-100km) 가격 인상 전
가격 인상 후
Long
Range
511km 5.4 5.0초 7,099만원 9485.9만원
Performance 448km 4.8 3.7초 7,990만원 1억 196.1만원

 

4) 모델 X(2021 출시)

트림 주행거리 복합연비 제로백(0-100km) 가격 인상 전
가격 인상 후
Long
Range
580km 3.9 3.9초 1억 3,999만원 -
Plaid 547km 3.7 2.6초 1억 5,999만원 -

 

희한한게 미국 시장에서 모델3와 모델 Y의 경우 롱레인지 모델만 가격이 인상되었는데 국내는 모든 트림이 다 올랐네요.

 

모델S와 모델X는 국내 가격이 정해지지 않은건지 홈페이지에서 금액이 표기되지 않고 있습니다.

 

 

지금 테슬라의 가장 대표 모델이자 가장 저렴한 모델3 가격만 봐도 스탠다드 : 7034만원, 롱레인지 : 약 8300만원, 퍼포먼스 약 9400만원인데요.

 

퍼포먼스의 경우 이제 정말 1억에 가까운 금액대가 되어버렸습니다. 이게 19년도에만 해도 약 7200만원인데 3년만에 2200만원이나 올라버렸습니다.

 

 

게다가 테슬라 모델3의 경우에는 보조금도 별로 안나오는데요. 겨우 취등록세 정도 나오려나.. 여기에 자율주행 옵션까지 추가하려면 정말 가격이 어마어마합니다.

 

 

이젠 테슬라 가격이 BMW나 벤츠 가격이 되어버렸는데요. 전기차에 있어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는것 외에는 승차감이나 고급진 느낌 등이 아무래도 BMW나 벤츠에 비해서 아직은 많이 떨어지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드는데 가격이 비슷해졌으니 참 오묘합니다.

 

이번 테슬라 가격 인상을 계기로 전기차 시장 흐름이 또 어떻게 흘러갈지도 궁금해지네요.

제가 정리한 정보가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